⚡ 인테리어 전기 공사 A to Z ⚡

2025. 7. 1. 06:31인테리어/건축

반응형

📌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는지, 꼭 알아야 할 전기 시공 흐름 정리!
 
안녕하세요, 월하에요 😊

오늘은 인테리어 공사 중에서도
‘숨은 핵심’이라고 불리는 전기 공사에 대해
💡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진행되는지
조금 더 전문적인 시선으로 정리해드릴게요!
 
전기 공정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, 집 전체의 편의성과 안전을 좌우하는 작업이에요.

작은 실수 하나로 감전 위험이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
✅ 정확한 설계 + 꼼꼼한 시공 + 안전한 마감
이 세 가지가 정말 중요하답니다!


✅ 전기 공사의 전체 흐름 한눈에 보기

인테리어 전기 공사는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돼요:
1️⃣ 도면 확인 & 배선 설계
2️⃣ 배관(전선관) 매립
3️⃣ 배선 작업 (전선 인입)
4️⃣ 박스 설치 (콘센트, 스위치, 전등박스)
5️⃣ 기기 연결 및 시험 운전
6️⃣ 마감 및 덮개 설치
7️⃣ 완료 점검 & 통전 테스트
하나씩 더 자세히 풀어볼게요! 👇


🔍 1. 전기 도면 & 설계 확인

시공 전에 반드시
📐 전기 배선도조명/콘센트 위치도를 확인해요.

  • 전등 위치는 어디?
  • 스위치가 몇 개?
  • 벽걸이 TV엔 어떤 배선?
  • 에어컨/냉장고 전용 회선은?

이걸 놓치면 사용자가 불편하거나 전기용량이 부족할 수도 있어요.
📎 전문가 Tip
→ 가전제품 사용 계획까지 확인하고 설계하는 게 중요해요!
예: 전자레인지 + 인덕션 동시 사용 → 전용 회로 필요!


🧵 2. 배관 (CD관, PVC관) 매립

벽이나 바닥 속에
**전선 보호용 관(전선관)**을 먼저 설치해요.
이걸 "배관"이라고 해요.

  • 노출 배관: 공장이나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에 사용
  • 매립 배관: 대부분 가정/상가에서 사용

📎 사용하는 재료 예시

  • CD관: 연질 플라스틱, 구불구불 쉽게 시공
  • PVC관: 딱딱하고 직선, 내구성 높음
  • 후렉시블관 (후렉스): 천장 쪽 많이 사용

🔌 3. 전선 인입 (배선)

배관이 끝나면
선(IV, VCTF 등)을 당겨 넣는 작업을 해요.
이걸 **‘배선’**이라고 부르죠.
📎 전선 종류 예시

  • IV전선: 기본 단선, 내장 전선으로 가장 많이 사용
  • VCTF: 연선으로 부드럽고 이동용 기기나 전자제품 배선에 사용

이때 색상별로 구분하는 게 중요해요!

  • 흑색: 전원선
  • 백색: 중성선
  • 녹색: 접지선

📦 4. 콘센트/스위치/전등박스 설치

전기 기기들이 들어갈 위치에
**박스(Box)**를 설치해요.

  • 콘센트 박스
  • 스위치 박스
  • 전등 박스

📎 박스는 수평/수직 잘 맞추는 게 중요해요!
나중에 마감재 시공에 영향을 줄 수 있거든요.


🛠️ 5. 기기 설치 및 결선

배선이 끝나면
실제 기기를 연결하는 결선 작업을 해요.

  • 콘센트 연결 (피복 벗기고 나사 체결)
  • 스위치 배선 연결
  • 전등 기구 설치 (거실등, 매입등 등)

💡 이때 사용되는 단자, 피스, 피복길이 등
정밀한 손기술이 필요한 구간이에요!


✅ 6. 마감 & 덮개 설치

전기 기기를 연결한 후
**커버 플레이트(덮개)**를 설치해요.

  • 콘센트 커버
  • 스위치 플레이트
  • TV단자, LAN 단자 마감 등

디자인도 요즘엔 다양해서
인테리어 분위기와 어울리게 골라주는 센스도 필요해요 🎨


🧪 7. 통전 테스트 & 점검

모든 시공이 끝난 후에는
통전 테스트를 진행해요.

  • 전기가 잘 들어오는지?
  • 누전은 없는지?
  • 용량이 부족하지 않은지?

📎 안전 점검까지 끝나야
진짜 ‘전기 공사 완료’예요!


✅전기 공사는 벽 뒤에 숨겨져 있지만
우리 생활의 핵심이자 안전을 책임지는 필수 공정!

조명부터 콘센트, 에어컨, 인덕션까지—
제대로 된 전기 설계와 시공이 있어야
불편 없이,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😊
 
다음엔 전기용량 계산법이나
💡 조명 회로 나누는 팁 등
현장 전기 꿀팁들도 소개해드릴게요 🙌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