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축/복잡한 용어, 그게 뭐에요?
인테리어 견적서 단위 완전정복 Part 2! 평, 루베, 가네, 포인트, 통계 단위까지!
wall-ha
2025. 6. 16. 10:24
인테리어 견적서를 보다 보면 루베, 가네, 평, 통계, 포인트 같은 단위도 마주치게 돼요!
생소해서 넘기기 쉽지만, 이 단위들도 금액 산정에 영향을 준다는 점! 꼭 알아두셔야 해요.
안녕하세요 월하입니다!🌙
오늘은 실무에서 종종 등장하지만 헷갈리기 쉬운 단위들을 더 소개해드려볼게요.
Part 1에 이어 단위에 대해 확실히 알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랄게요!

1. 평 – 익숙하지만 꼭 알아야 하는 한국형 면적 단위
- 뜻: 1평 = 3.3㎡ (약 1m × 3.3m 면적)
- 예시:
- 주거공간 30평 → 약 99㎡
- 도배 20평 → 벽면 면적 약 66㎡
- 평 단위는 여전히 부동산·인테리어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니
㎡(제곱미터)와 변환법을 꼭 익혀두세요!

2. 루베 (㎥) – 부피 단위 (입체 공간)
- 뜻: 루베(RUBE) = 입방미터(㎥), 즉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
- 예시:
- 레미콘 1루베 → 1㎥의 콘크리트
- 토사 반출 2루베 → 흙 2㎥를 치운다는 의미
- 주로 철거, 골조, 토공에서 자재의 부피 계산 시 사용돼요.

3. 가네 – 목공 및 금속공사에 사용되는 구조 단위
- 뜻: 한 구획(프레임) 혹은 일정한 기준 단위
- 예시:
- 천장 T바 작업 10가네 → 10구획 단위로 시공
- 천장 프레임, 금속 작업에서 자주 쓰이는 단위이며,
구체적 수치는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니 확인 필수!

4. 포인트 (PT) – 디자인 요소나 벽지·페인트 부분 시공에 사용
- 뜻: 전체가 아닌 특정 부분만 시공할 때 사용하는 단위
- 예시:
- 벽지 포인트 시공 1PT → 한 면만 교체
- 포인트 페인트 1PT → 벽 한 면에 컬러 포인트
- 강조 색상, 디자인 포인트 공간 등을 시공할 때 자주 등장해요!

5. 통계 (식) – 정해진 가격 없이 작업 범위를 통째로 잡는 단위
- 뜻: 작업 범위 전체를 통합 단가로 계산
- 예시:
- 전기공사 통계 → 전기배선, 콘센트, 스위치 포함
- 목공사 통계 → 석고보드, 각재, 시트 등 포함
- 구체적인 자재·인건비 항목이 빠져 있는 경우가 많아,
계약 전에 꼭 세부 내역 확인이 필요해요!
🌙 단위 하나하나에 금액이 붙는 인테리어!
알아두면 시공 이해도도 오르고, 불필요한 비용 지출도 줄일 수 있답니다 .
Part 1에서는 기본 단위,
Part 2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부피, 프레임, 부분 시공 단위까지 소개해드렸어요!
앞으로도 계속해서 현장에서 꼭 필요한 단위, 용어 정리해드릴게요.
헷갈리는 단위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메시지로 질문해주세요!
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