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7. 3. 21:03ㆍ인테리어/건축
📌 에어컨·인덕션에는 꼭 필요한 ‘전기 길 따로 만들기’의 모든 것!
안녕하세요, 월하에요 🙋♀️
오늘은 전기 공사에서 정말 자주 나오는 말,
“이건 전용회로로 시공하셔야 해요~” 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!
그런데…
"전용회로가 뭐예요?"
"일반 회로랑 뭐가 달라요?"
"왜 꼭 따로 해야 하는 거예요?"
이런 궁금증 생기신 적 있죠? 😊
오늘은 아주 쉽게,
전용회로의 개념부터 왜 필요한지, 어떤 제품이 해당되는지
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드릴게요! 💡
✅ 전용회로란 무엇일까요?
전용(專用) + 회로(回路)
→ 말 그대로,
하나의 전기기기를 위해 ‘전기 길’을 따로 만들어주는 것!
📎 일반 회로는 여러 콘센트를 한 회로에 묶지만,
전용회로는 특정 제품만 연결되도록 ‘단독 회로’를 만드는 것이에요!
✅ 왜 전용회로가 필요할까요?
우리 집 콘센트는 대부분
👉 하나의 회로로 3~4개 콘센트를 묶어서 사용해요.
그런데 여기에서
🔥 전력(전기 먹는 양)이 많은 기기를 연결하면?
💥 회로에 과부하가 걸려서
→ 차단기가 떨어지고
→ 심하면 전선이 과열되어 화재 위험까지!
📌 그래서 전기를 많이 먹는 고용량 기기는
다른 기기와 공유하지 않고, 따로 전기를 공급해야 해요.
이게 바로 전용회로!
✅ 전용회로가 필요한 대표적인 전기기기들 ⚠️
에어컨 | 약 2000~4000W | ✅ 필수 |
전기레인지 (인덕션) | 3000~7000W | ✅ 필수 |
전기보일러 | 5000W 이상 | ✅ 필수 |
건조기 | 2000~3000W | ✅ 권장 |
전자레인지 | 1000~1500W | ⚠️ 고용량 제품은 전용 권장 |
냉장고 | 200~700W | ❌ 보통은 공유 OK |
👉 기준은 전기 제품의 **소비 전력(W)**이에요!
일반적으로 1500W 이상이면 전용회로 권장이라고 보면 돼요!
✅ 전용회로는 어떻게 시공할까요?
- 벽 속에 깔린 전선 중
🔹 일반 콘센트: 2.5SQ × 여러 콘센트
🔸 전용 콘센트: 2.5~4SQ 전선 × 단독 1구 콘센트 - 차단기 박스(분전반)에서는
전용회로마다 **개별 차단기(MCB)**를 하나씩 배정해요!
📎 예를 들어,
에어컨을 전용회로로 설치했다면
→ 차단기 박스 안에 **‘에어컨 전용 차단기’**가 하나 따로 있어요!
✅ 전용회로 확인하는 법 👀
- 분전반(두꺼비집) 열어보기
- 회로명이 ‘에어컨’, ‘인덕션’ 등으로 따로 쓰여 있으면 전용회로!
- 콘센트 주변 보기
- 벽에 ‘인덕션 전용’ 같은 스티커가 붙어 있는 경우 많아요.
- 시공도면 확인
- 도면에 4SQ 전용, 전용회로 표시가 있으면 단독 배선
✅ 전용회로를 안 쓰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?
- 🔥 과부하로 차단기 자주 떨어짐
- ⚠️ 전선 발열 → 화재 위험
- ❌ 다른 회로까지 같이 정전
- 📉 가전제품 수명 단축
전용회로는 비용이 조금 더 들 수 있지만,
👉 가전제품을 안전하게 오래 쓰기 위한 기본 장치라고 생각해 주세요!
✅ 전용회로는 ‘특별한 회로’가 아니라,
**고용량 전기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‘기본 회로’**랍니다! 😌
전기 공사나 리모델링할 때
가전 제품의 소비 전력을 꼭 확인하고,
전용 회로 여부도 함께 챙겨주세요!
다음 글에서는
📎 ‘차단기의 종류와 역할’에 대해서도
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🙌
'인테리어 > 건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⚡전기배관 시공, CD관과 후렉스의 차이점은? (1) | 2025.07.04 |
---|---|
⚡ 차단기 종류와 역할 완벽 정리! ⚡ (1) | 2025.07.03 |
⚡SQ가 뭐예요? 전선 굵기 단위 완전 정복! (0) | 2025.07.03 |
🔥 연기식 감지기란? (0) | 2025.07.02 |
⚡ 인테리어 전기 공사 A to Z ⚡ (4) | 2025.07.01 |